안녕하세요. 30대 유부남 쿼과장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나에게 맞는 아파트 매물을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살 수 없는 아파트를 목이 빠져라 쳐다보기보다는 내가 살 수 있는 아파트를 필터링해서 보는 방법도 꼭 알아둬야 합니다. 오늘은 이어서 정리해보려고 하는 부분이 바로 '대출' 입니다.
내 돈 100%를 다 내고 아파트를 매수하는 경우는 굉장히 드문데요. 대부분 사람들이 은행에서 부동산 담보대출을 활용해서 취득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이 등장합니다. 그럼 대출이 '얼마나' 나오는지 확인을 해봐야겠죠?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내가 사고 싶은 아파트의 KB시세
먼저 내가 사고 싶은 아파트를 정했다면 대출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첫번째 순서입니다.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매수하려고 한다면 먼저 내가 원하는 매물을 아래와 같이 클릭해서 세부 정보를 봅니다.
위 화면이 보이신다면 해당 매물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메뉴가 보이실텐데요. 매물정보, 시세/실거래가, 동호수/공시가격, 학군정보, 사진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시세/실거래가를 선택해줍니다.
2. KB시세 확인해보기
시세/실거래가를 클릭해서 보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해당 아파트의 시세가 그래프로 쭉 정리가 되어 나타나게 되는데요. 하단에는 매매 실거래가 정보도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보시면 '매매 시세' 정보를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KB부동산, 부동산뱅크에서 산정한 해당 매물의 시세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KB부동산' 을 클릭해줍니다.
접속하시면 기존에 나와 있던 금액과는 다르게 하위평균가, 일반평균가, 상위평균가 정보가 세분화되어 조회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금액은 일반평균가입니다. 7월 19일 기준으로 해당 매물의 일반 평균가는 8억으로 조회가 됩니다.
이 일반 평균가를 기준으로 대출금액이 계산되게 되는데요. 현재 이 매물의 호가 8.3억이고 KB부동산 일반 평균가는 8억입니다. 그럼 대출금액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비규제지역이라는 가정 하에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비교해야할 금액은 호가 vs KB시세입니다. 이 중 낮은 금액을 기준으로 LTV 70%를 적용받게 됩니다.
현재 이 아파트의 매물은 KB시세가 호가 보다 낮게 나와 있기 때문에 8억을 기준으로 70%의 대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8억의 70%이기 때문에 5.6억을 대출 받을 수 있고, 매도자가 8.3억에 매물을 내놓았기 때문에 내 돈이 (8.3억 - 5.6억)으로 2.7억이 필요하게 됩니다. 각종 취득세, 이사비, 중개수수료를 감안한다면 약 3억원의 자본금이 필요합니다.
반드시 KB시세를 확인하신 후 대출금액을 계산하셔서 자기 자본금이 얼마나 필요한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 부분이 확인되지 않고 매수계획을 세우셨던 분들은 다시 한번 계획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네이버 부동산에서 내 예산에 맞는 아파트 매물 검색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30대 유부남 쿼과장입니다. 취득세와 DSR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내 예산에 맞는 아파트 매물을 네이버 부동산에서 찾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누구나 좋은 아파
football-world2030.tistory.com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뜻과 PMT 함수을 활용하여 엑셀에서 계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30대 유부남 쿼과장입니다. 요즘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가장 많이 듣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DSR' 인데요. 그렇다면 DSR이 무엇을 의미하는걸까요? 대출에 왜
football-world2030.tistory.com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호선 김포 인천 검단 연장 노선도 확정 본격 추진 (0) | 2024.08.07 |
---|---|
도곡동 래미안 레벤투스 분양가 평면도 1순위 청약경쟁률 (0) | 2024.08.06 |
네이버 부동산에서 내 예산에 맞는 아파트 매물 검색하는 방법 (0) | 2024.07.19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뜻과 PMT 함수을 활용하여 엑셀에서 계산하는 방법 (0) | 2024.07.18 |
1주택자 아파트 취득세 계산하는 손쉬운 2가지 방법 (0) | 2024.07.17 |